인구 감소 문제: 한국은 선진국들이 직면한 인구 감소 문제의 두드러진 사례입니다. 대부분의 부유한 국가들은 충분한 출산율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지만, 한국은 1980년대부터 충분한 출산율을 놓치고, 최근에는 더욱 더 감소하여 2018년에는 여성당 1명 이하, 팬데믹 이후에는 0.8명, 2023년 2분기와 3분기에는 0.7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사회적 위기: 한국의 출산율이 이렇게 낮으면, 한 세대에서 200명이었던 인구가 다음 세대에는 70명, 그 다음 세대에는 25명 이하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적 쇠퇴, 노령화, 이주, 고독사, 북한의 침략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문화적 요인: 한국의 출산율 감소에는 여러 가지 문화적 요인이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과도한 학업 경쟁,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남녀 간의 갈등, 종교적 신앙의 약화, 가상 현실의 유혹 등이 가족 형성을 어렵게 만듭니다.
경고의 의미: 한국의 예는 인구 감소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고 빠르게 악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미국과 다른 선진국들도 비슷한 경향을 겪고 있으므로, 한국의 사례를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한국은 선진국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감소 문제의 중요한 사례 연구 대상국입니다. 거의 모든 부유한 국가들의 출산율이 대체 수준 이하로 떨어지고 있지만, 한국은 그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여 2018년 여성 1명당 0.7명에서 2023년 여성 1명당 0.7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저출산 국가가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에 몰고 온 인구 감소 규모를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출산율이 수십 년 동안 이렇게 낮은 수준을 유지하지는 않겠지만, 2060년대 후반에는 3500만 명 이하로 급감해 한국 사회를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는 연령 피라미드의 급격한 역전으로 인한 급격한 경제 쇠퇴를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이미 서유럽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는 이민자 수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로 이민자를 받아들일 것인지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한국의 사례는 저출산 문제가 지금까지 부유한 국가들의 일반적인 추세보다 훨씬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국 특유의 잔인한 학력 경쟁 문화, 문화적 보수주의, 사회-경제적 근대화가 저출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현재 추세는 단순히 암울한 놀라움이 아니라 전 세계에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경고입니다.
한동안 한국은 선진국들이 안고 있는 인구 감소 문제에서 눈에 띄는 사례 연구 대상이었습니다. 거의 모든 부유한 국가들의 출산율이 대체 수준 이하로 떨어졌지만, 이는 보통 여성 한 명당 1.5명 정도의 자녀를 낳는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2021년 미국은 1.7명, 프랑스는 1.8명, 이탈리아는 1.3명, 캐나다는 1.4명이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1980년대에 대체 수준 이하로 떨어졌지만 최근 들어 더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2018년에는 여성 1인당 1명 이하로 떨어졌고, 팬데믹 이후에는 0.8명으로 떨어졌으며, 2023년 2분기와 3분기 잠정 데이터에서는 여성 1인당 0.7명만 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수준의 출산율을 유지하는 국가는 한 세대에 200명당 다음 세대에는 70명이 감소하여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에 몰고 온 인구 감소를 능가하는 인구 감소를 겪게 될 것입니다. 두 번째 세대가 바뀔 때까지 실험을 실행하면 원래 200명이었던 인구가 25명 이하로 떨어집니다. 이 실험을 다시 실행하면 스티븐 킹의 소설 "스탠드"에 나오는 가상의 슈퍼독감으로 인한 인구 감소에 가까워집니다.
신문 칼럼니스트의 기준에서 보면 저는 저출산 경고론자이지만, 어떤 면에서는 낙관론자라고 생각합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인구 과잉 공황이 적응 없이 추세가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잘못 생각했던 것처럼, 저는 출산율의 하향 궤도에 대한 깊은 비관론(예를 들어 아미쉬가 지배하는 22세기 미국을 상상하는 것)이 인간의 적응력, 인구 감소 속에서 번성하는 인구가 시간이 지나면서 더 높은 출산율의 미래를 모델링하고 개종자를 끌어들이는 정도를 과소평가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낙관론의 정신에 따라 저는 실제로 한국의 출산율이 수십 년 동안 이 정도로 낮게 유지되거나 인구가 현재의 약 5,100만 명에서 저의 사고 실험이 제안하는 한 자릿수인 수백만 명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2060년대 후반에는 인구가 3,500만 명 이하로 급감할 것이라는 추산은 그 자체만으로도 한국 사회를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연령 피라미드의 급격한 역전으로 인한 급격한 경제 쇠퇴를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이미 서유럽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는 이민자 수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로 이민자를 받아들일 것인지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노인들의 버림, 광활한 유령 도시와 폐허가 된 고층 빌딩, 은퇴자 커뮤니티의 관리자로서 미래가 보이지 않는 젊은이들의 이민이 불가피할 것입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북한(현재 출산율: 1.8명)의 침략이 있을 것이고, 남한의 이웃 국가가 유능한 군대를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면 북한으로부터 침략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한국의 사례는 부유한 국가들의 일반적인 추세보다 훨씬 더 빠르게 저출산 문제가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물론 한국을 차별화하는 여러 가지 패턴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게 될 것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저출산 원인으로 자주 거론되는 것 중 하나는 정규 교육 위에 '학원'을 덧씌워 학부모의 불안과 학생의 불행을 부추기고, 가정생활을 지옥으로 만들어 출산 시도조차 하지 못하도록 하는 특유의 잔인한 학력 경쟁 문화입니다.
다른 하나는 한국의 문화적 보수주의와 사회 및 경제적 현대화 사이의 독특한 상호작용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 혼외 출산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성 혁명은 전통적인 사회적 관습에 의해 부분적으로 무뎌졌습니다. 그러나 결국 보수적인 사회적 기대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반란과 남성의 반페미니스트 반응이 서로 얽히면서 남녀 간 극심한 양극화가 발생했고, 이는 혼인율을 사상 최저치로 떨어뜨리는 동시에 한국의 정치를 재편했습니다.
한국의 보수주의가 역사적으로 서구적 의미에서 종교적이라기보다는 유교적, 가족적이라는 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는 강한 종교적 신념이 전통주의적 관습보다 가족 형성에 더 좋은 자극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는 한국이 오랫동안 인터넷 게임 문화의 최첨단을 달려왔기 때문에 젊은 남성들이 특히 가상 세계에 더 깊이 빠져들고 이성과 더 멀어지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쓰고 나니 이러한 설명이 미국 문화와의 단순한 대비로 읽히지 않고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트렌드를 과장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우리도 지칠 대로 지친 능력주의가 있습니다. 우리도 세속화되고 있으며, 반자유주의적이지만 반드시 경건하지는 않은,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은 문화적 보수주의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우리 역시 가상 존재의 유혹과 병리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은 단순히 암울한 놀라움 그 이상입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경고입니다.
저출산 문제: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2050년대 이후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또한 미국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는 한국의 출산율이 14세기 흑사병 때 유럽의 인구 감소보다 더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원인과 대책: 저출산의 근본 원인으로 도시의 높은 인구밀도로 인한 경쟁 압박, 고용·주거·양육에 대한 불안을 들었다. 연구원은 청년의 불안과 경쟁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육아휴직, 고용률, 가족 관련 정부 지출, 도시인구집중도, 혼외출산 비중, 실질주택가격지수 등을 OECD 평균 수준으로 맞추는 6가지 정책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면 출산율을 최대 0.845명 늘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입시 경쟁 문화: NYT 칼럼니스트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악화할 수밖에 없는 원인으로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밀어넣는 가혹한 입시 경쟁 문화를 지적했다. 그는 한국 사례를 통해 미국에서도 벌어질 수 있는 일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