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복과 심호흡/충전하기(반복)

[대외관계-수요일-반복하기]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과 우크라이나-이스라엘 갈등: 미국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의 변화

728x90

제목: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과 우크라이나-이스라엘 갈등: 미국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의 변화 

지난 6월 기밀문서 불법반출 혐의와 관련 기소 인부 절차를 위해 법원에 출석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모습을 그린 그림 [로이터]

 

서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대선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슬로건으로 내세웠습니다. 그는 기존의 외교적 관습과 공식을 깨고, 미국의 이익과 안보를 최우선으로 하는 독특한 형태의 대외 정책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미국의 동맹국들과의 관계, 국제 협약과 제휴, 그리고 미국의 가치와 원칙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과 같은 국제적인 갈등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어떤 영향을 미쳤고, 그 결과로 미국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1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미친 영향은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러시아 군의 폭격으로 인해 파괴된 우크라이나 현지의 건물

 

첫째,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과 정치적 압력을 줄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7월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원조를 일시 중단하고,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의 아들 헌터 바이든의 부패 의혹을 조사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안보보다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우선시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둘째,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약화시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에게 국방비 증액을 요구하고, 독일에 주둔한 미군 병력을 축소하고, 유럽연합(EU)을 미국의 경제적 적으로 비난했습니다. 이로 인해 유럽의 안정성과 단결력이 저해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러시아의 공격성을 부추기고, 우크라이나의 안보를 위협하고, 유럽의 동맹과의 관계를 손상시켰습니다.

 

본론 2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에 미친 영향은 세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공습으로 파괴된 가자지구 모스크와 주택들 [로이터=연합뉴스] 출처 : 한국NGO신문(http://www.ngonews.kr)

 

첫째,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을 표명하면서 팔레스타인에 대한 무관심과 적대감을 드러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에 미국의 이스라엘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고, 2018년에는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제사업기구(UNRWA)에 대한 미국의 기부금을 중단하고, 2020년에는 이스라엘의 골란고원과 요르단강 서안의 주권을 인정했습니다  . 이는 팔레스타인의 정당한 권리와 요구를 무시하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평화적 해결을 방해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둘째,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의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단순화시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의 핵 합의에서 탈퇴하고, 이란에 대한 최고수위의 제재와 압력을 가하고, 이란의 거셈 솔레이마니 총사령관을 암살했습니다  . 이는 이란과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중동의 안정을 위협했습니다.

 

셋째, 트럼프 대통령은 아브라함 협정을 통해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의 정상화를 촉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0년에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모로코, 수단의 외교관계 정상화를 중재하고, 미국의 무기와 경제적 혜택을 제공했습니다 . 이는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의 관계 개선과 중동의 평화에 기여했다는 칭찬을 받았습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이스라엘의 독단성을 증가시키고, 팔레스타인의 절망감을 심화시키고, 중동의 긴장을 고조시켰습니다.

 

본론 3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미국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에 미친 영향은 네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와 내향적 국가주의를 강조하면서 다자주의와 국제협력을 경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 기후 협정, 이란 핵 합의, 세계보건기구(WHO) 등의 국제적인 협약과 기구에서 탈퇴하거나 자금을 중단하면서, 미국의 이익과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한 국제적인 규범과 제도에 도전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의 국제적인 신뢰도와 존중도가 감소하고, 미국의 동맹과 적대국들의 태도가 변화하고, 미국의 리더십과 책임감이 약화되었습니다.

 

둘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가치와 원칙을 손상시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권, 민주주의, 법치 등의 보편적인 가치와 원칙을 미국의 대외 정책의 기준으로 삼지 않고, 미국의 이익과 거래를 우선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권이나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국가들에게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친화적이거나 칭찬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의 가치와 원칙이 희석되고, 미국의 동맹과 적대국들의 태도가 변화하고, 미국의 리더십과 책임감이 약화되었습니다.

 

셋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동맹과의 관계를 악화시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 아시아, 중동 등의 전통적인 동맹국들에게 국방비 증액을 요구하고, 무역적자를 줄이라고 압박하고, 미국의 이익과 정책에 따르라고 강요했습니다 . 이로 인해 미국의 동맹국들은 미국에 대한 신뢰와 협력을 잃고, 미국의 이익과 정책에 반대하거나 독자적인 정책을 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넷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적대국과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의 적대국들에 대해 일관성 없고 모순적인 정책을 펼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에 대해 경제적이나 군사적인 경쟁자로 인식하면서도, 푸틴 대통령이나 시진핑 주석과 개인적인 친분을 자랑하거나 칭찬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 북한에 대해 최고수위의 제재와 압력을 가하면서도, 로하니 대통령이나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을 제안하거나 편지를 주고받았습니다 . 이로 인해 미국의 적대국들은 미국의 정책과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미국의 이익과 정책에 도전하거나 무시하기 시작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미국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을 변화시켰습니다. 그러나 그 변화는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미국의 영향력과 신뢰도를 감소시키고, 미국의 가치와 원칙을 희석시키고, 미국의 동맹과 적대국들의 태도를 변화시켰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의 리더십과 책임감을 약화시키고, 미국의 이익과 안보를 위협했습니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그 결과로 미국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미국 우선주의와 내향적 국가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동맹과 적대국들, 그리고 국제사회와의 관계에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과 같은 국제적인 갈등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은 갈등의 해결을 방해하고, 갈등의 확대를 촉발하고, 갈등의 재발을 유발했다. 이로 인해 미국의 국제적 지위와 역할은 크게 변화했다. 

 

미국은 세계의 리더와 책임자가 아니라, 세계의 문제와 장애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의 국가 이익과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미국의 가치와 원칙을 회복하고, 미국의 동맹과 적대국들과의 관계를 재건하고, 미국의 리더십과 책임감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전통적인 외교 방식을 추구하고, 다자주의와 국제협력을 증진하고, 국제적인 협약과 기구에 재참여하고, 인권과 민주주의를 존중하고, 동맹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적대국과의 대화를 재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과 같은 갈등 상황에서 미국의 이익과 가치를 수호하고, 갈등의 해결과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미국은 세계의 리더와 책임자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회복하고, 미국의 국가 이익과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