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64)
새로운 디지털 문화 만들기(Creating a new digital culture) Digital First: 적극적으로 디지털을 활용하려는 생산성을 높이려는 문화 Data Thinking: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확장된 사고를 가지려고 노력하는 문화 Open Culture: 지역, 종교, 인종, 성별, 연령, 직업, 관심사 등을 배려하여 협력하는 문화 2023.01.19 - [재단 안내] - 설립 목적
사회 이동성 개선(Improving social mobility) 사회 이동성 개선은 사람들이 사회 경제적 계단을 오를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의미합니다. 디솜은 사회구성원이 쉽게 디지털에 접근하여 사회 경제적 계단을 오르는 것을 용이하게 합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① 지역성: 성숙한 디지털 사회를 지역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다른 문제점을 보완합니다. ② 공정성: 성숙한 디지털 사회를 만드는 과정에서 공정성을 고려합니다. ③ 공동체: 성숙한 디지털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사회적 공동체가 참여합니다. ④ 디지털 인프라: 성숙한 디지털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디지털 인프라를 강화합니다. 2023.01.19 - [재단 안내] - 설립 목적
설립 목적 설립 목적 디지털 전환의 시대를 맞아, 사회구성원들의 디지털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여, 왜곡되지 않은 성숙한 디지털 사회에 대한 컨센서스를 도출하고 국가와 사회발전에 이바지 한다. 가치 사회 이동성 개선(Improving social mobility) 새로운 디지털 문화 만들기(Creating a new digital culture) 디지털과 창의성의 동맹(An alliance of Digital and Creativity) 주요 사업분야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이해와 소통을 위한 기반조성에 관한 사업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 필요한 사회구성원들에 대한 교육사업 디지털 전환의 이해와 활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홍보 또는 각종 이벤트 사업 기타 성숙한 디지털 사회 조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업들 등
‘Digital Society Forum’ Statement 디지털사회! 세간에 너무 많이 거론되어 벽장에서 낡은 코트를 꺼내입는 것같은 철지난 명제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 명제를강조해야 할 절박성이 우리에게 있습니다. 세계경제규모제10위, IT강국, 반도체굴기, 이는 대한민국에 붙은 수식어입니다. 하지만 ‘Global social mobility report’라는 보고서가 있습니다. ‘세계경제포럼’에서 각 국가를 사회적 건강관리, 교육, 기술적 접근, 근로 조건, 사회 안전 보장이라는 5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하여 점수를 매기고, 이 점수를 기초로 ‘사회적 신분 상승사다리’를 얼마나 쉽게 올라갈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Tool입니다. 조사대상 82개국 중에 대한민국은 평점 71.4로 25위에 불과 합니다. 흔히 말하는 ‘부익부’ ‘빈익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