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푸드테크의 정의와 특징, 푸드테크의 부상 배경과 시장 동향 소개

푸드테크란 무엇일까요? 푸드테크는 식품과 기술의 결합으로, 식품 생산, 가공, 유통, 소비, 폐기 등의 전 과정에 적용되는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말합니다 . 푸드테크는 식품 산업의 효율성, 품질, 안전성, 지속가능성, 맞춤성, 편의성 등을 높이고, 식품 문제와 도전에 대응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
푸드테크는 어떤 배경과 동향으로 부상하게 되었을까요? 푸드테크의 부상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첫째, 식품 산업의 디지털화와 스마트화가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로봇 등의 첨단 기술들이 식품 산업에 접목되기 시작했습니다 . 둘째,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비대면 식품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무인 식당, 배달 앱, O2O 서비스 등의 푸드테크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습니다 . 셋째, ESG, MZ세대, Veganism 등의 사회적 트렌드와 가치 변화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건강한 식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체식품, 식용곤충, 미생물 발효 등의 푸드테크 제품들이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 넷째,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위기와 고령화로 인한 건강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푸드테크가 필요성과 긴박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
푸드테크는 식품 산업의 혁신과 미래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푸드테크의 주요 분야와 사례, 성장 동력과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론 1
푸드테크의 주요 분야와 사례 소개
푸드테크는 식품 산업에 기술을 접목하여 혁신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입니다.
푸드테크의 주요 분야와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체식품: 동물성 식품을 식물성, 배양, 발효, 곤충 등의 다른 재료로 대체하는 식품입니다. 환경, 건강, 동물복지 등의 이유로 대체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비건 버거, 대체유, 대체계란, 대체치킨, 대체해산물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임파서블 푸드는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대체육을 사용하여 버거, 치킨, 돼지고기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이코 테크놀러지는 버섯 균사체로 만든 대체육을 개발하여 소고기, 스테이크, 육포 등을 만들고 있습니다.

- 푸드테크 로봇: 요리, 서빙, 커피 등의 식음료 관련 작업을 로봇이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비대면, 자동화, 효율성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요리로봇, 서빙로봇, 커피로봇, 스마트팜 로봇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촌에프앤비는 협동로봇을 도입하여 치킨을 튀기는 작업을 로봇이 수행하도록 하였습니다. 도미노피자는 드론을 이용하여 피자를 배달하는 서비스를 상용화하였습니다.

- 기타 푸드테크: 3D 푸드 프린팅, 무인 식당, O2O 서비스 등의 다양한 푸드테크 기술입니다. 식품의 형태, 맛, 영양, 편리성 등을 개선하거나 새롭게 창출하는 기술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3D 푸드 프린터, 라면 자판기, 식물성 참치, AI 챗봇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의 바이플로우는 3D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고기를 출력하고 있습니다. 양유는 단백질 우유로 만든 채식주의자용 치즈를 개발하였습니다.
본론 2
푸드테크의 성장 동력과 전망 분석

푸드테크는 식품 산업의 혁신과 미래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푸드테크의 성장 동력과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술 발전과 혁신: AI, IoT, 3D 프린팅, 로봇 등의 기술이 고도화되고 융합되면서, 푸드테크의 가능성과 다양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식품의 품질, 안전성, 맞춤성,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고, 식품 문제와 도전에 대응하는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AI는 식품의 영양성분, 맛, 향, 색깔 등을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IoT는 식품의 유통과정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3D 프린팅은 식품의 형태와 구조를 자유롭게 조작하고, 로봇은 식품의 생산과 서비스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 비대면 수요 확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비대면 식품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식품 배달, 편의 서비스, 무인 식당 등의 푸드테크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식품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이고, 사회적 거리두기와 위생 관리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배달의민족은 식품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쿠팡이츠는 식품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키오스크는 무인 주문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드론, 로봇, 자율주행차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식품 배달을 더 빠르고 안전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친환경 대체식품에 대한 관심 증대: ESG, MZ세대, Veganism 등의 사회적 트렌드와 가치 변화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건강한 식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체식품, 식용곤충, 미생물 발효 등의 푸드테크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동물성 식품의 대안으로서, 환경 부담을 줄이고, 영양소를 공급하고, 동물복지를 증진시킵니다. 예를 들어, 대체육은 식물성, 배양, 발효 등의 방법으로 만들어지며, 동물성 육류와 유사한 맛과 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용곤충은 고품질의 단백질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강하고, 자원 효율적인 식품입니다.
- 식량 위기와 건강 문제에 대한 대안: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위기와 고령화로 인한 건강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푸드테크가 필요성과 긴박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푸드테크는 식량 안보와 식품 안전성을 확보하고, 식품 손실과 폐기를 줄이고, 식품의 다양성과 품질을 높이고, 식품 관련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팜은 IoT, AI, 로봇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 조건을 최적화하고, 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퍼스널라이즈드 푸드는 식품의 영양성분과 맛을 개인의 유전자, 건강 상태, 취향 등에 맞게 조절하고, 식품 알레르기나 비만, 당뇨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합니다.
결론
푸드테크의 중요성과 의미, 푸드테크 산업에 대한 제언 및 향후 과제 제시
푸드테크에 대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푸드테크는 식품 산업의 혁신과 미래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푸드테크는 식품의 품질, 안전성, 맞춤성, 편의성, 지속가능성 등을 향상시키고, 식량 안보와 식품 안전성을 확보하고, 식품 손실과 폐기를 줄이고, 식품의 다양성과 품질을 높이고, 식품 관련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푸드테크는 식품 산업뿐만 아니라, 환경, 건강, 사회, 경제 등의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푸드테크는 식품 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고, 식품 산업의 미래를 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푸드테크 산업에도 여러 가지 문제와 과제가 존재합니다. 푸드테크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푸드테크 기술의 표준화와 규제를 수립하고, 푸드테크 산업의 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푸드테크 산업의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등의 과제가 있습니다. 푸드테크 산업은 이러한 문제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연구기관, 소비자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노력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푸드테크 산업은 식품 산업의 혁신과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 기술의 확산과 적용, 시장의 확대와 성숙, 소비자의 인식과 수용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푸드테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더욱 확대되고 강화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자료1) samilpwc_paradigm-shift-october2022.pdf
- 푸드 테크의 부상: 푸드테크는 스마트 농업, 대체 단백질, 3D 푸드 프린팅, 푸드 로봇 등 식품과 기술이 결합된 신산업입니다. 푸드테크 시장은 IT 발전, 코로나19, ESG, MZ세대, 인구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푸드테크의 로봇: 본 보고서는 식품 생산, 유통,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푸드테크 로봇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했습니다. 푸드테크 로봇의 정의, 범주, 규제, 시장, 기술뿐만 아니라 향후 트렌드와 관련 비즈니스에 대한 시사점을 다룹니다.
- 대체 단백질: 이 보고서는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식품 옵션을 제공하는 푸드테크의 또 다른 핵심 분야인 대체 단백질 산업에 대해서도 소개합니다. 대체 단백질에는 식물성 육류, 곤충성 식품, 배양육 등이 있으며, 보고서의 2부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 음식료 Value Chain을 기반으로 한 푸드테크 산업 분류: 음식료 생산·개발, 유통·관리, 조리·가공, 마케팅·판매·배달, 소비·후처리 등의 과정에 따라 푸드테크 산업을 구분하고, 각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푸드테크 서비스와 기술을 소개한다. 예를 들어, 음식료 조리·가공 과정에서는 3D 푸드 프린팅, 밀키트, 스마트키친, 공유주방, 음식료 조리·식재료 가공 로봇 등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고 한다.
- 디지털푸드랩 기준 푸드테크의 주요 사업영역: 프랑스 푸드테크 전문 조사 기관 디지털푸드랩(Digital Food Lab)은 푸드테크의 주요 사업영역을 농업에서의 혁신과 관련된 Ag-Tech, 건강, 환경보호 등 다양한 가치관으로 신규 생성된 수요에 대응한 Food Science, 주문이나 예약 등 식당 운영 관리를 돕는 Food Service, 소비자에게 무엇을 어떻게 먹을지 추천하는 Consumer Tech, 식재료, 음식을 배달하는 Delivery, 공급망 및 소매 유통 관련 영역인 Supply Chain으로 분류했다고 한다.
- 한국푸드테크협회 기준 푸드테크 산업 분류: 한국푸드테크협회에서는 푸드테크 산업을 크게 물류유통, 온디맨드 서비스, 정보 콘텐츠, 인프라 테크로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류유통에는 식자재 유통, HMR, 배달대행 서비스 등이 포함되고, 인프라 테크에는 스마트팜, 로봇 요리사, 대체식품, 3D 푸드 프린팅 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 농업용 로봇의 정의와 종류: 농업용 로봇은 농업 생산 과정에서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기계 장치를 말합니다. 작물 재배 및 축산용 로봇, 임업 및 어업용 로봇, 농업 데이터 수집 및 분석용 로봇 등이 있습니다.
- 농업용 로봇의 시장 규모와 성장성: 전세계 농업용 로봇 시장은 2020년 약 91억 달러로, 연평균 16.4%로 성장해 2025년 226억 달러에 도달할 전망입니다. 북미가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마트팜, 센서 및 정보수집, 자동화 기기 등의 분야가 주요 성장 동력입니다.
- 농업용 로봇의 도입 효과와 한계: 농업용 로봇은 농업 생산량과 효율성을 높이고, 농업 환경과 자원을 보호하고, 농업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농업용 로봇의 도입에는 비용, 기술, 규제, 안전, 사회문화적 요인 등의 장벽이 존재합니다.
- 푸드테크 로봇의 분류: 푸드테크 산업은 외식업종뿐만 아니라 농축수산업, 음식료 공장 제조, 식료품 물류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푸드테크 로봇을 협의의 푸드테크 로봇과 광의의 푸드테크 로봇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세부 분류와 내용을 소개한다.
- 조리 로봇의 개발 및 상용화 사례: 조리 로봇은 인건비 상승과 구인난에 대응하기 위해 외식업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로봇으로, 다양한 음식을 제조하거나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내외에서는 피자, 햄버거, 치킨, 면 요리 등의 조리 로봇이 개발되고 있으며, LG전자, 삼성전자, 두산로보틱스 등의 대기업과 푸드테크 스타트업들이 조리 로봇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 국내 서빙 로봇 시장: 브이디컴퍼니가 중국 푸두테크의 서빙 로봇을 국내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 약 70%를 차지. 이외에도 KT, LG전자, 삼성전자, 배달의민족 등이 서빙 로봇을 개발하거나 도입하고 있음.
- 중국 서빙 로봇 시장: 푸두테크, 킨온, 오리온스타, 세그웨이-나인봇 등이 주요 기업으로, 서빙 로봇의 시장 규모는 '25년까지 3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이외 국가의 서빙 로봇: 미국, 캐나다, 일본 등에서도 다양한 서빙 로봇이 개발되거나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베어로보틱스는 한국과 캐나다의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음.
- 농업용 로봇: 경작지에서 잡초를 식별하고 제거하거나, 농작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거나, 딸기나 감자 등을 수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들을 소개합니다. 미국, 스페인, 일본, 한국 등의 기업들이 다양한 농업용 로봇을 개발하고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 식품 공장 가공·제조 로봇: 식품 공장에서 식재료를 가공하거나, 음식을 포장하고 용기에 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들을 소개합니다. 육가공, 낙농제품, 과일·야채, 과자, 인스턴트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독일, 덴마크, 일본 등의 기업들이 식품 공장용 로봇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식료품 창고 물류 로봇: 상품의 운반, 취급, 포장, 분류, 배송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들을 소개합니다. 특히, MFC(Micro Fulfillment Center)라고 부르는 도심형 소형 물류센터에서 로봇이 신선식품을 취급하고 배송하는 사례들을 보여줍니다. 미국, 영국, 이스라엘, 노르웨이 등의 기업들이 MFC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로봇규제혁신지원센터: 로봇 기업의 규제 애로를 해결하고 규제 샌드박스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 규제 샌드박스는 혁신적인 로봇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기존 규제를 임시로 면제하는 제도.
- 배달로봇의 규제 완화: 정부는 '25년까지 배달로봇의 도보 이용을 전면적으로 허용하겠다고 발표하고, '22년 1월에는 보도 및 횡단보도 통행 허용을 '23년까지 앞당기겠다고 밝힘. 또한 생활물류법 개정을 통해 배송로봇과 드론 운영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산업 육성을 지원하겠다고 함.
- 해외업체의 시장 진입: 미국의 Starship Technologies는 빠른 규제 완화로 200만번의 배달 트랙 레코드를 누적했으며, 러시아의 얀덱스도 '22년 한국 배달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들은 규제 완화가 실현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돌봄 로봇: 한국 정부는 팬데믹과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서비스 로봇, 특히 돌봄 로봇에 대한 예산을 늘렸습니다. 돌봄 로봇에는 인간을 따라다니는 반자율 침대, 간호 보조, 모니터링 시스템, 신체적-인지적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과 공감할 수 있는 반려 로봇 등이 있습니다.
- 웨어러블 로봇: 이 페이지에서는 소프트 센서 내장형 의류 로봇, 일상생활 보행 보조 로봇 등 가정에서 건강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의 개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 의료용 로봇: 이 페이지에서는 척추 조직 수술 로봇, 수술 보조 로봇, 팬데믹 대응 로봇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 로봇을 소개합니다. 또한 초소형 의료 로봇과 재활 로봇의 발전 현황을 보고합니다.
- 로봇용 센서의 종류와 특징: 로봇에 사용되는 센서는 시각 센서, 거리 센서, 힘/토크 센서, 관성 센서 등이 있으며, 각각의 센서는 로봇의 물체 인식, 위치 인식, 운동 인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센서의 종류별로 특징, 장점, 단점, 응용 분야 등을 설명한다.
- 로봇용 구동기의 종류와 특징: 로봇용 구동기는 전기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며, 모터의 종류로는 PMDC, BLDC, 스테핑, 초음파 모터 등이 있고, 감속기의 종류로는 유성 기어 감속기와 하모닉 감속기가 있다. 구동기의 종류별로 특징, 장점, 단점, 가격, 용량 등을 설명한다.
- 로봇용 제어기의 종류와 특징: 로봇용 제어기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장치로, 구동기를 제어하고 다양한 센서와 연결할 수 있는 모듈을 뜻한다. 제어기의 종류로는 모션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다축 모션 제어기 등이 있으며, 실시간 다축 로봇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 한국의 푸드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미국, 중국, 인도, 영국, 이스라엘에 비해 한국의 푸드테크 스타트업 생태계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입니다. 국내 푸드테크 스타트업은 93개로 일본(130개), 중국(268개)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앞선 IT와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푸드테크 산업 발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온라인 주문과 배달 분야에서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식품 분야에서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높은 수준의 R&D 및 제조 역량,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업을 통해 자동화 및 로봇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도전과제와 제언: 국내 푸드테크 시장은 모바일 배달 애플리케이션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체식품, 식품 보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투자와 지원, 사업 개발이 더 필요하다. 선진국들은 식량부족과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체육, 식품보존기술 등 식품분야 R&D에 경쟁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나, 국내 식품기업의 R&D 투자비율은 매출액 대비 0.36%에 불과해 매우 저조한 실정입니다. 앞으로 자본과 기술력을 갖춘 대기업을 중심으로 푸드테크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 및 협력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도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과 투자 확대, 규제 완화에 속도를 낼 필요가 있습니다.
- 접목된 미래형 컨텐츠 공간: 푸드테크 스타트업들의 서비스, 제품, 기술, 투자, 투자단계 등을 소개하는 표를 제공합니다. 총 42개의 푸드테크 기업이 나열되어 있으며, 배달, 조리, 예약, 식사대용, 대체식품, 공유키친, 와인, 간식, 육류, 유산균, 용기, 쿠폰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 국내 대기업의 푸드테크 로봇 관련 투자 및 개발 현황: LG전자, 삼성전자, 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KT, SKT 등 6개의 대기업이 푸드테크 로봇 사업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서빙, 조리, 배달, 물류, 방역, 바리스타 등의 로봇을 개발하거나 투자하고 있으며, 협력사, 출시 제품, 사업 계획 등을 소개합니다.
- 참고자료: 푸드테크 로봇에 관한 국내외의 보고서, 연구, 동향 등을 정리한 목록을 제공합니다. 총 28개의 자료가 있으며, 출처와 제목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2) 기후위기와 대체식품, 푸드테크의 부상 | Deloitte Korea | Consumer
- 기후 위기와 대체 식량: 이 페이지에서는 기후 변화가 어떻게 식량 불안을 야기하고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식물성 육류, 곤충 단백질, 배양육 등 다양한 종류의 대체 식품을 소개합니다.
- 대체 식품 시장 현황 및 잠재력: 이 페이지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대체 식품의 현재와 미래 시장 규모, 점유율, 성장률을 분석합니다. 식물성 단백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곤충 기반 단백질과 배양육도 향후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친환경 푸드테크의 부상과 핵심 기술: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를 개선하여 기후변화를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친환경 푸드테크에 대해 소개합니다. 또한 무혈 배양 배지, 3D 바이오 프린팅, 스마트팜 등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푸드테크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 기술도 소개합니다.
- 스마트팜의 기술: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로봇기술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재배 조건을 제공한다. 스마트팜은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 밀폐형 스마트팜의 발전: 밀폐형 스마트팜은 식물공장이라고도 불리며, 자연 태양광이 필요 없고 인공 태양광과 자동 급수 장치를 통해 식물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한다. 밀폐형 스마트팜은 자연 현상에 의한 제약조건이 덜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태양광 패널 등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도 있다.
- 도시농업의 활성화: 밀폐형 스마트팜의 발전으로 도시 한복판의 마천루에서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푸드 마일리지(음식 재료의 운송 거리)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시농업은 식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로컬푸드를 생산하는 방식의 농업이다.
- 푸드 업사이클링의 중요성: 푸드 업사이클링은 식품 제조 부산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활용하여 더 큰 가치를 지닌 자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푸드 업사이클링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항공 연료, 바이오가스, 식품 원료 등을 생산하는 기술을 활용한다. 푸드 업사이클링은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절감하는 데 기여한다.
- 식품 쓰레기 재활용: 한국의 여러 기관에 소속된 물리학자 팀이 식품 찌꺼기와 농장 쓰레기를 이용하여 항공업계의 탄소 감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료를 만들었다고 주장합니다.
(참고 자료3) FoodTech_Trend_Report_StartUs-Insights.pdf
'반복과 심호흡 > 심호흡 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호흡 하기]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이 만들어가는 지능경제의 미래 (2) | 2023.12.18 |
---|---|
[심호흡 하기] 2022년 국제문화교류 진흥 시행계획, 한국의 문화적 위상과 상호 이해를 위한 새로운 도전 (2) | 2023.12.11 |
[심호흡 하기] 11월 리뷰와 12월 계획 (8) | 2023.12.04 |
[심호흡 하기-11월 4차] 스몰비즈니스의 지역사회 협력 전략 (2) | 2023.11.27 |
[심호흡 하기-11월 3차] DT를 통해 ESG 목표를 달성하는 기업의 경쟁력과 가치 창출 방법 (0) | 2023.11.20 |